• ABOUT US
  • ART CONSULTING
  • ARCHIVE
  • CONTACT

  • ABOUT US
  • ART CONSULTING
  • ARCHIVE
  • CONTACT

Blog

개인자택, 서울, 2019 / 서승원(회화)
개인자택, 서울, 2019 / 서승원(회화)
K 기업, 서울, 2020 / 배병우(사진)
K 기업, 서울, 2020 / 배병우(사진)

GREAT TO SEE YOU
유재연 JAEYEON YOO

2021. 6. 4 - 7. 2
Dandelion Picker, 2021, oil on canvas, 152.5 x 121.8 cm
Flower for you, 2021, oil on canvas, 152.5 x 121.8 cm
Great to see you, 2021, oil on canvas, 152.5 x 121.8 cm
Home boat_snowball 1, 2021, Oil on cut-out wood, 45 x 40 cm
Home boat_snowball 2, 2021, Oil on cut-out wood, 45 x 40 cm
Night Battersea Series, 2020, oil on canvas, 25.5 x 17.5 cm
Night scape 4, 2021, oil on cut-out wood, 62 x 60 cm
Night scape 5, 2021, oil on cut-out wood, 62 x 60 cm
Screaming dreams, 2021, oil on canvas, 122 x 91.5 cm
Two in the wetland, 2021, oil on canvas, 152.5 x 121.8 cm

유재연

JAEYEON YOO (b.1988)

Based in London & Seoul

 

 

학력

2014

영국 왕립 예술 학교(Royal College of Art), MA Painting 졸업

2011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서양화과 학사 졸업

 

 

개인전

2021

Great to see you, 갤러리 룩스, 서울

2019

1” Eclipse, 도잉아트, 서울

The Night is Young, 갤러리 룩스, 서울

2018 

Moonlight Punch, 노블레스 컬렉션, 서울

; _ ; semicolon underscore semicolon, 아티스트 런 스페이스 쇼앤텔, 서울

2015

You Can’t Go Home Again, 32sqm Acme 프로젝트 스페이스, 런던, 영국

2014

Home-made Disaster, Cabin gallery, 런던, 영국

2012

New Fantasia, SADI 윈도우 갤러리, 서울

The world of scare, Hello museum mini gallery, 서울

2011

F, 텀 갤러리(with Place MAK), 서울

 

 

주요 단체전

2021

Young Dreams, Aout gallery, 베이루트, 레바논

2020

순순히 어두운 밤을 받아들이지 마오, 챕터투 & 챕터투야드, 서울

2019

Universe of Universes, 신촌문화발전소, 서울

NOW K’ART V.2, 서울옥션강남센터, 서울

욕 욕 욕, 시대여관, 서울

EMAP 2019 [BE COLORED],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018

더블 아트 크리스마스, LG U+ 사옥 (용산, 마곡), 서울

아트마이닝 서울 2018,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 서울

EMAP 2018,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 서울

FAIR PLAY, Gallery Elena Shchukina, 런던, 영국

2017

POWER PLAY WINTER SALON, The Concept Space, 런던, 영국

PIY Painting Lounge, Sluice Biennale 2017, 런던, 영국

One Summer Night, Crypt gallery St. Pancras, 런던, 영국

Dentons Art Prize, Dentons Law Firm St. Paul office, 런던, 영국

2016

HIX AWARD 2016, Unit London Soho, 런던, 영국

Summer Arts Prize 2016, Lacey Contemporary Gallery, 런던, 영국

Blind Plural, Hundred Years Gallery, 런던, 영국

2015

Griffin Art Prize 2015, Griffin Gallery, 런던, 영국

Wells Art Contemporary 2015, Wells Museum, 웰즈, 영국

The Salon, Project Space 103, 콘월, 영국

RCA secret 2015, Dyson Gallery, 런던, 영국; 두바이, 아랍

POP LIVING, Schuwartz Gallery, 런던, 영국

The Exhibit-The Curator, The Exhibit Balham, 런던, 영국

2014

Winter Pride Award 2014, Lacey Contemporary Gallery, 런던, 영국

Launching Show, Frontline Ventures, 더블린, 영국

Launching Show, Frontline Ventures, 더블린, 영국

RCA secret, Dyson building, 런던, 영국

2013

PNTG NOV, Henry Moore Gallery, 런던, 영국

RCA secret, Dyson building, 런던, 영국

Note to self, Dyson building, 런던, 영국

Work in Progress Show, Henry Moore Gallery, 런던, 영국

2012

MUSEUM SAFARI 2, 예술의 전당 V Gallery, 서울

Art Discovery, Hello Museum, 서울

2011

In the city, 충무아트센터, 서울

2010

그림자-한편의 동화, 언더바 스페이스, 서울

Meet the artist, 금산갤러리, 파주

2009

Second Landscape, 터치아트 갤러리, 파주

 

 

수상

2017

Dentons Art Prize 2017_Shortlisted

2016

HIX AWARD 2016_ Shortlisted

2015

Griffin Art Prize_Shortlisted

Wells Art Contemporary 2015_Shortlisted

2014

Winter Pride Award 2014_ Shortlisted

Neville Burston Award_Winner

SOLITUDE
성민화 MIN HWA SUNG

2021. 5. 6 - 5. 30
blue horse from hanoi, 2019-2021, ink on paper, founded vintage frame, 43.8 x 38.8 cm
lifematters_bottle 1, 2021, ink on paper, founded vintage frame, 30 x 21 cm
lifematters_bottle 2, 2021, ink on paper, founded vintage frame, 30 x 21 cm
lifematters_salve, 2021, ink on paper, founded vintage frame, 25 x 40 cm
solitude, 2021, ink on paper, founded vintage frame, 33 x 43 cm
they cannot stand alone, 2021, ink on paper, founded vintage frame, each 26 x 13.5 cm

성민화

Min Hwa Sung

2002

독일 베를린 국립예술대학 Kunstimkontext Master of Art

1999

독일 브라운슈바이크 국립조형예술대학 졸업(Meisterschueler)

독일 브라운슈바이크 국립조형예술대학 졸업(Diplom)

199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B.F.A)

 

 

개인전

2021

solitude, 갤러리룩스, 서울

2019

ancilla, 상업화랑, 서울

2018

still, 영은 미술관, 경기

2017

Fade, a-lounge, 서울

2016

un_seen, 갤러리룩스, 서울 

2013

Visit, Kunstverein Bellevue Saal, 비스바덴, 독일

B my love, WerkStadt.Kulturverein e V, 베를린, 독일

2011

islet;섬 1009 12/1106 09, 성북예술창작센터갤러리_맺음, 서울

2010

Temporary home, 갤러리 차, 서울

2008

Walk, 가인 갤러리, 서울

2006

Sung Min Hwa Solo Show, Walter Wickiser Gallery, 뉴욕, 미국

Haus, 갤러리정미소, 서울

2002

My favorite ways (Sung Minhwa& J Weinhold), 프로젝트스페이스사루비아다방, 서울

Wechselwirkung (Sung Minhwa&J.Weinhold), KunstvereinGueterloh, 귀터슬로, 독일

2001

I see…!, 금산갤러리, 서울

2000

I see…!, City project: Ist der Kultur das Geschlechtegal?, 슈타데, 독일

 

 

주요 단체전

2018

visible – invisible, Heritage space Hanoi, 하노이, 베트남

2015

Korea Ausstellen, Humboldt-Lab, Dahlem, Ostasiatisches Museum, 베를린, 독일

실패하지 않는 그림: 드로잉, 갤러리 룩스, 서울

Humboldtlab_Pronebuehne 7_Korea, ausstellen Museum, fürAsiatischeKunst, 베를린, 독일

2014

시간을 걷다, 닥터박갤러리, 양평

2011

Beyond Drawing, 스페이스15번지, 서울

Auf die, PapiergalleryHafemann, 비스바덴, 독일

Self-forgetfulness VS nature, 경기창작센터, 안산

2010

레지던스 퍼레이드 경기창작센터교류, 인천아트플랫폼,인천

2009

Made in Korea(하노버 국제산업박람회 동반국 문화행사), 하노버, 독일

2007

Artist book from, 21.Century National Museum of Art &History, 타이베이, 대만

경기 1번국도,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6

광주비엔날레 제 3 섹터 시민프로그램: 140만의 불꽃,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05

Domestic Drama, 프로젝트 스페이스 집, 서울

2004

외침과 속삭임, 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서울

2003

오픈스튜디오, 쌈지스페이스, 서울

2001

EmergingII Sense & sensibility, 쌈지스페이스, 서울

Art cotempraind’Asie, Passage de Ret’s, 파리, 프랑스

외 다수

 

 

레지던시, 수상 및 선정

2019

Map Artist Residency Program, 베트남

2018

영은미술관 레지던시, 경기

2015

Zitadellespandau atelier program, 독일

2013

Scholarship Bellevue SaalKunstverein Bellevue saal Wiesbaden, 독일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시립미술관

Artothek Wiesbaden, 독일

현대커머셜주식회사

쌈지스페이스

G 호텔, 부산, 2015 / 이원철(사진) 외
G 호텔, 부산, 2015 / 이원철(사진) 외
개인병원, 안양, 2020 / 류정민(사진)
개인병원, 안양, 2020 / 류정민(사진)
개인병원, 안양, 2020 / 임선이(사진)
개인병원, 안양, 2020 / 임선이(사진)

사계 四季
김용훈 KIM YONGHOON

2021. 4. 1 - 4. 30
사계 四季, 2019, inkjet pigment print, 20 x 24 inch
사계 四季, 2020, inkjet pigment print, 30 x 40 inch (2)
사계 四季, 2020, inkjet pigment print, 30 x 40 inch
사계 四季, 2020, inkjet pigment print, 40 x 50 inch
시간의 온도, 2018 inkjet pigment print, 24 x 20 inch
시간의 온도, 2018, inkjet pigment print, 50 x 40 inch
시간의 온도, 2019, inkjet pigment print, 24 x 20 inch
시간의 온도, 2019, inkjet pigment print, 40 x 30 inch

작가노트

 

나의 이전 작업들에서부터 줄곧 지속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는 시간에 대한 감정이다.

잊혀 가는 기억에 대한 기록, 더불어 흘러간 시간에 대한 아쉬움 혹은 소중함과 같은…….

 

‘Time in a Bottle(병 속에 시간을 담아둘 수 있다면)’을 듣고 영감을 얻은 이번<사계> 연작은 빈 병 속에 아쉽고 소중한 시간을 영원히 담아내고 싶다는 은유적 염원을 담고 있다. 시간의 확장성으로 계절을 연상시킨 과일과 조우하여 예술이 줄 수 있는 무한대의 시각적 언어로서 재해석한 병을 통해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소재들에 대해서도 결코 쓸모없지 않고 그 자체로도 아름다울 수 있음을 표현하고 싶었다.

 

무심한 듯 보이는 빈 병은 그 안에 담겼던 내용물과 시간의 기록들이 소멸하는 과거에서의 흘러가는 시간을 상징한다. 제철 적정 시기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면서 시간의 흐름을 일깨워주는 또 다른 오브제인 반갑고 신기한, 생생한 과일을 통해서는 현재 지금의 시간을 주목하기를 바랐다. 이렇게 대립적인 개념을 내포한 두 오브제를 또 다른 대립적 개념을 가진 빛과 그림자의 표현으로 극대화하였고, 오후에서 저녁으로 흘러가며 시시각각 변화하는 빛을 재현하였던 과거 인상주의와 같이 나의 사진 속의 대상들에 강렬하게 부딪혀 나타나는 빛과 그림자가 이러한 감정의 선으로 이어진다. 또한 이전 작업과는 달리 비스듬한 이질적 배경의 구도와 촬영 당시의 감정에 대한 색감을 시각화하고자 했다.

 

<사계> 연작 속 두 오브제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시간이 내재하는 소중함, 숭고함… 이는 우리 인생의 많은 물음에 대한 답이 될 것이고, 또한 현재의 가치를 잊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개인자택, 판교, 2020 / 김수강(사진)
개인자택, 판교, 2020 / 김수강(사진)
T 기업, 서울, 2021 / 강홍구(사진)
T 기업, 서울, 2021 / 강홍구(사진)
T 기업, 서울, 2017 / 구성연(사진)
T 기업, 서울, 2017 / 구성연(사진)
T 기업, 서울, 2018 / 권도연(사진)
T 기업, 서울, 2018 / 권도연(사진)
T 기업, 서울, 2018 / 한성필(사진)
T 기업, 서울, 2018 / 한성필(사진)
T 기업, 서울, 2018 / 구성연(사진)
T 기업, 서울, 2018 / 구성연(사진)
T 기업, 서울, 2018 / 구성연(사진)
T 기업, 서울, 2018 / 구성연(사진)

강 하류에서 꿈꾸기를 한 조각상 A STATUE DREAMING ON RIVER
이해반 HAEVAN LEE

2020.12. 3 - 12. 24
금강산, 2020, oil, acrylic on canvas, 141.9 x 377 cm
금강산(부분), 2020, Oil, acrylic on canvas, 141.9 x 377 cm (5)
금강산(부분), 2020, Oil, acrylic on canvas, 141.9 x 377 cm (4)
금강산(부분), 2020, Oil, acrylic on canvas, 141.9 x 377 cm (3)
금강산(부분), 2020, Oil, acrylic on canvas, 141.9 x 377 cm (2)
금강산(부분), 2020, Oil, acrylic on canvas, 141.9 x 377 cm (1)
Mt.Geumgang-0428, 2019, pencil on paper, 30 x 30 cm
Mt.Geumgang-0506, 2019, pencil on paper, 30 x 30 cm

작가노트

 

전시 “강 하류에서 꿈꾸기를 한 조각상”에서는 경계지역들을 다니며 본 풍경들을 다루는데, 이는 날이 선 분위기의 풍경 속, 대상을 관찰하며 느낀 시각적 유희를 회화를 통해 그려내고자 한다.

<금강산>은 2012년부터 진행한 <DMZ풍경 시리즈>의 연작으로 출입이 제한되거나 사진촬영이 불가능한 풍경들을 회화로 그려낸 작업이다. DMZ 풍경 시리즈는 태어난 지역이기에 어렸을 때부터 보아온 휴전선부근에서의 경험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어렸을 때 작은 카메라를 들고 자유롭게 사진을 찍으러 다녔던 공간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군사적으로 이 곳의 자유를 제한하여, 더 특별한 공간으로 만들어 진다. 이 제한은 휴전중인 국가의 국방 안보의 문제일 수도, DMZ 안보관광 상품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매번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 제한범위가 바뀌는 것을 경험하였다.

2년 전, 국방부 행사로 강원도 고성의 통일전망대보다 더 북쪽에 위치한 707op에 방문하였다. 한 군인이 대형 망원경을 통해 눈앞에 둘러싼 금강산을 확대하여 모니터에 보여주며 브리핑하였고, 확대한 금강산에서는 검은 구멍(벙커)이 곳곳에 뚫려 있었다. 촬영이 불가능한 모니터 속 확대한 풍경은 드로잉과 기억에 의존하여 그렸다.

DMZ 풍경시리즈의 초기 작업에서는 캔버스 안에 제한적인 풍경들을 좀 더 사실적으로 담아내 보여주고자 하였다면, 최근 작업은 회화 안에서의 풍경에 대한 심리적인 경험을 상대적으로 극대화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62 Ogin-dong, Jongno-gu, Seoul, Korea | gallerylux@naver.com

© 2025 Gallery LUX.
  • Instagram
  • Facebook
  • X
error: